WORK-LIFE/Linux12 SuSE15 SP6 & jsch 호환성 최근 OS 업그레이드 진행하면서 APP와 문제가 되는 부분중 APP에서 OS ssh 를 사용하여 타 서버 연결 하는 과장에서 암호화 방식 지원 문제로 인해 키 인증이 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아에 SuSE 15 SP6 와 java에서 사용하는 JSCH 를 대상으로 호환성 확인을 copilot에게 물어보았는데.. OS 변경 사항SuSE 15 SP5 > SuSE 15 SP6 #### SuSE 15 SP6 암호화 방식🔐 기본적으로 지원되는 SSH 암호화 알고리즘 (DEFAULT 정책 기준)✅ Key Exchange (KEX) 알고리즘curve25519-sha256curve25519-sha256@libssh.orgecdh-sha2-nistp256ecdh-sha2-nistp384ecdh-sha2.. 2025. 7. 15. [LINUX] /etc/resolv.conf 설정 문제 SuSE 15 업그레이드 진행후 재부팅 했는데.. 어라.. 서비스 가동이 않됨...로그를 보니.. domain 에러가 나네...뭐지.. 찾다가.. /etc/resolv.conf 내용이 없어 졌어.. ㅡㅡ; 거기다가 resolv.conf 파일에 링크가 걸려 있네... 뭐가 어떻게 된건지... 우리 구글님에게.. 물어보면 또나오지.."SuSE 15 resolv.conf DNS empty"https://www.suse.com/support/kb/doc/?id=000021579 After upgrading from SLES12SP5 to SLES15SP5, a DNS entry... www.suse.com SuSE 12때부터 그랬다는데.. SuSE 12 올릴때는 않나왔는데..어찌됐던.. SuSE 12 SP.. 2024. 11. 25. [SuSE] SuSE 15 net-tools-deprecated SuSE 15 업그레이드 이후 SuSE 12에서 사용하던 명령어가 사라지는 현상이 발생 합니다.이는 SuSE 15로 업그레이 되면서 명령어 체계가 변경 되면서 발생되는데요.. 그래도 수십년을 사용했던 ifconfig 가 않되면... 당황 스럽고 불편하겠죠?? 그래서 novell에서 예전 쓰면 명령어가 있는 패키지를 배포 하고 있습니다."net-tools-deprecated"package를 zypper로 설치하면 기존에 사용하던 network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더보기#> zypper install net-tools-deprecated -y 2024. 10. 22. [Redhat] 저널(journal) 로그 관리 시스템 로그중 journal 이란 녀석이 있어..이 녀석이 로그를 /var/log/journal 이란 곳에 쌓는데..생각보다 로그 사이즈가 크게 만들어지더라고.. journal log 관리를 위한 설정/etc/systemd/journal.conf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설정인데 위 설정을 조정하면 journal log를 관리 할 수 있어요. * 저널 설정 파일 말고.. 명령어로도 설정이 가능한데 몇가지 예를 아래와 같이 표시해 볼께요..# journal log 파일을 1G 단위로 관리#> journalctl --vacuum-size=1G# 로그 보관 주기는 5일#> journalctl --vacuum-time=5d * 저널 일관성 확인 명령어#> journalctl --verify * 저널 로그가 사용하는.. 2024. 7. 8. [SuSE15] vmtoolsd VS vmware-tools SuSE 12의 지원 기간이 만료가 도래되어 SuSE 15로 업그레이드 진행한후 vmtools 관련 프로세스의 이슈가 발생함.확인해보니.. OS에서 지원하는 open-vm-tools가 있고, 아주 오래전에 vmware에서 제공하는 수동으로 설치하던 vmtools 가 있었던것!!! 예전에 사용하던걸 삭제않하고 OS에서 재공하는것과 함께 사용되고 있었는데.. OS 커널이 올라가면서.. 실행에 문제가 되는것. [프로세스 이름]vmware-tools : 구 vmware 에서 제공한 toolsvmtoolsd : open-vm-tools [현상]> SuSE 15 업그레이드 이후 vmware-tools 서비스 fail> vmware-config-t 프로세스가 CPU 100% 점유 [해결]구 vmtools 를 삭제 .. 2024. 5. 21. [Linux] /etc/environment 파일 설정 /etc/environment??리눅스가 부팅이되고 제일 처음으로 적용하는 환경 설정 파일 입니다./etc/environment 파일에는 모든 프로세스의 기본 환경을 지정하는 변수가 포함 됩니다.시스템에서 기본으로 설정되는 변수를 바꾸기 위해서 해당 파일에 변수 선언을 해주면 됩니다.아래 예시로 언어와 라이브러리 경로를 변경 해 보았습니다.## This file is parsed by pam_env module## Syntax: simple "KEY=VAL" pairs on seperate lines# LANG="ko_KR.UTF8"LD_LIBRARY_PATH=/usr/local/lib:/usr/local/lib64:/usr/lib:/usr/lib64 일회성으로 환경 변수를 바꿀.. 2024. 4. 24. [Linux] while문 사용하기 서버 운영 하다 보면 Data migration 작업이나, 프로세스 모니터링을 해야 하는 일이 종종 발생합니다. 일회성 모니터링 때문에 script 를 만들자니 너무 번거롭죠.. 이럴때 command 창에 while 문으로 반복 하여 실행하면 편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어요. Redhat에서 소개하는 반복문의 정의 입니다. for loops are typically used when you have a known, finite list, like a series of numbers, a list of items, or counters. while loops can be used with lists but are also useful for conditions that do not have a known l.. 2024. 2. 20. [SUSE] after.local 사용법 오늘은 after.local 사용법을 알아보도록 하죠.. after.local은 redhat의 rc.local과 같은 기능을 하는 파일 입니다. 전체 부팅이 완료 된 후 제일 마지막으로 실행하는 부분으로 주로 서비스 등록 되지 않는 stansalone 프로세스를 올릴때 after.local에 등록하여 실행 하기도 합니다.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etc/init.d/after.local 파일에 실행하고자 하는 명령어를 넣어 놓으시면 되요. ※ 경험상 SuSE11에서 SuSE12로 upgrade 한 서버의 경우 after.local이 실해이 않되는 경우가 있어요. 이럴때 after.local 제일 상단에 #!/bin/sh 를 추가해주시면 실행 되더라고요. ※ SuSE 사이트에 있는 hashpling 추가 자.. 2023. 2. 20. [SuSE] ISO 파일 Repository 설정 인터넷이 되지 않고 SMT 구성이 되어 있지 않은 환경에서 보안 패치나 패키지 설치를 할때 단일 파일만 업데이트하면 의종선 문제 같이 여러 문제가 발생되죠. 이럴때 ISO 파일을 repository로 연결하면 의존성이 있는 패키지도 함께 설치가 되어서 한결 맘편해집니다. 오늘은 isolation 되어 있는 환경에서의 ISO Repository 연결 방법입니다. 전 주로 command 사용하는 걸 좋아해서..(사실 yast 사용이 불편해요.. ㅜㅜ) ## 혹시 파일을 받아서 단일로 설치할 경우 ISO로 묶는 방법입니다. #> mkisofs -iso-level 4 -J -R -o /생성경로/ISO파일이름.iso /묶을폴더경로/ ## ISO repository 연결 #> zypper ar -c -t yast2.. 2023. 2. 15. 로그 관리 명령어 LOGROTATE 리눅스 공부를 하면서 책에 꼭!! 나오는 명령어중 logrotate가 있다. (기초 책에 나온다는건 꼭 알아야 하는거죠..) 서버 운영에 가장 중요한 부분인데 오랜 시간 서버 운영을 하다 보면 간과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로인해 서버 장애가 발생 하기 때문에 되도록 신규 서버 생성시 체크 항목으로 넣는 것이 좋다. 1. logrotate ? 로그는 리눅스가 기동되어 꺼질때까지 모든 기록을 남기는 운영상 & 보안상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아무리 중요한 부분이라도 과하면 탈이나죠. 그래서 이 로그를 관리해주는게 로그로테이트(logrotate) 입니다. 로그로테이트(logrotate)는 로그를 갱신하기도하고, 압축하기도 하고, 삭제하기도 합니다. 2. 처리 과정 주로 로그 로테이트는 자동으로 .. 2023. 1. 13. [REDHAT] Mirror Disk 교체 절차 +++++++++++++++++++++++++++++++++++++++++++++++++++++++ mirrorvg에 대해서 - mirrorvg 명령은 주어진 볼륨그룹에 존재하는 모든 LV를 미러(mklvcopy)해준다. lv를 정해진 디스크로 copy 해주는 것이기 때문에 RAID 1과는 기능상 구별되며, mirrorvg 이후에 생성된 lv는 해당되지 않으므로 다시 mirrorvg를 해주거나 syncvg 등으로 lvcopy를 재차 해주어야 한다. 1. non-rootvg 미러링 # mirrorvg -c 2 datavg hdisk2 hdisk3 # mirrorvg -c 3 datavg hdisk2 hdisk3 hdisk4 --> 3개의 pv로 미러링 * roortvg를 mirror할때는 Quorum이 자.. 2023. 1. 10. [Redhat] Filesystem 연결 ## PV 생성 pvcreate /dev/mapper/mpathc ## VG 생성 vgcreate -n my_vg /dev/mapper/mpathc ## LV 생성 lvcreate -L200G -n my_lv my_vg ## LV 용량 증설 lvextened -L100G /dev/mapper/VolGroup00-LogVol01 ## LV 용량 증설 후 수동으로 적용 시키기 resize2fs /dev/mapper/VolGroup00-LogVol01 2020. 2.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