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3

[Linux] NAS(NFS) mount 하기 NAS란?NAS(Network Attached Storage) 중앙 집중식 파일 서버 라고 하고요..여러 사용자가  TCP/IP 네트워크 파일을 저장하고 공유 할 수 있는 공유 스토리지, 공유 디스크 라고 보시면 됩니다. 네트워크를 통하기 때문에 반드시 같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에 존재해야 하는게 원칙입니다. 여러대의 PC에 이미 설정해 놓은 공유 볼륨을 연결해 여러 사람이 같은 파일을 사용할 수 있더록 연결하여 쓰는게 NAS 공유 볼륨입니다. 여기에서는 공유 볼륨을 만드는 서버 설정이 아닌, 외장 스토리지를 사용하여 이미 만들어진 볼륨을 연결하는 작업을 해보겠습니다. Linux에서 NFS 파일 시스템을 쓰기 위해서는 필수 패키지가 있는데요.. 바로 nfs-utils 입니다. 이년석이 nfs.. 2024. 5. 31.
[Linux] /etc/environment 파일 설정 /etc/environment??리눅스가 부팅이되고 제일 처음으로 적용하는 환경 설정 파일 입니다./etc/environment 파일에는 모든 프로세스의 기본 환경을 지정하는 변수가 포함 됩니다.시스템에서 기본으로 설정되는 변수를 바꾸기 위해서 해당 파일에 변수 선언을 해주면 됩니다.아래 예시로 언어와 라이브러리 경로를 변경 해 보았습니다.## This file is parsed by pam_env module## Syntax: simple "KEY=VAL" pairs on seperate lines# LANG="ko_KR.UTF8"LD_LIBRARY_PATH=/usr/local/lib:/usr/local/lib64:/usr/lib:/usr/lib64 일회성으로 환경 변수를 바꿀.. 2024. 4. 24.
로그 관리 명령어 LOGROTATE 리눅스 공부를 하면서 책에 꼭!! 나오는 명령어중 logrotate가 있다. (기초 책에 나온다는건 꼭 알아야 하는거죠..) 서버 운영에 가장 중요한 부분인데 오랜 시간 서버 운영을 하다 보면 간과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로인해 서버 장애가 발생 하기 때문에 되도록 신규 서버 생성시 체크 항목으로 넣는 것이 좋다. 1. logrotate ? 로그는 리눅스가 기동되어 꺼질때까지 모든 기록을 남기는 운영상 & 보안상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아무리 중요한 부분이라도 과하면 탈이나죠. 그래서 이 로그를 관리해주는게 로그로테이트(logrotate) 입니다. 로그로테이트(logrotate)는 로그를 갱신하기도하고, 압축하기도 하고, 삭제하기도 합니다. 2. 처리 과정 주로 로그 로테이트는 자동으로 .. 2023. 1. 13.